[레포트(report) data(자료)]악성코드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6 11:03
본문
Download : [레포트자료]악성코드분석.docx
스턱스넷이라는…(To be continued )
[레포트자료]악성코드분석 , [레포트자료]악성코드분석공학기술레포트 , 레포트자료 악성코드
[레포트(report) data(자료)]악성코드분석
순서
설명
레포트자료,악성코드,공학기술,레포트
다.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레포트자료]악성코드분석.docx( 66 )
[레포트(report) data(자료)]악성코드분석
![[레포트자료]악성코드분석_docx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EC%95%85%EC%84%B1%EC%BD%94%EB%93%9C%EB%B6%84%EC%84%9D_docx_01.gif)
![[레포트자료]악성코드분석_docx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EC%95%85%EC%84%B1%EC%BD%94%EB%93%9C%EB%B6%84%EC%84%9D_docx_02.gif)
![[레포트자료]악성코드분석_docx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EC%95%85%EC%84%B1%EC%BD%94%EB%93%9C%EB%B6%84%EC%84%9D_docx_03.gif)
![[레포트자료]악성코드분석_docx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EC%95%85%EC%84%B1%EC%BD%94%EB%93%9C%EB%B6%84%EC%84%9D_docx_04.gif)
![[레포트자료]악성코드분석_docx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EC%95%85%EC%84%B1%EC%BD%94%EB%93%9C%EB%B6%84%EC%84%9D_docx_05.gif)
![[레포트자료]악성코드분석_docx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EC%95%85%EC%84%B1%EC%BD%94%EB%93%9C%EB%B6%84%EC%84%9D_docx_06.gif)
악성코드分析
1. 악성 코드 stuxnet이 사용한 취약점 서술
2. Metamorphic malware로 분류되는 악성 코드의 난독화 방법 종류
목 차
1. 악성 코드 stuxnet이 사용한 취약점 서술 2
1.1) 스턱스넷(Stuxnet) 2
1.2) stuxnet의 공격 과정 3
1.3) stuxnet이 사용한 취약점 6
1.3.1) Windows shell LNK 취약점, 바로가기 아이콘 로드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問題點) 6
1.3.2) Windows Printer Spooler 취약점, 인쇄 스풀러 서비스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問題點) 7
1.3.3) Windows Server Service 취약점, 서버 서비스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問題點) 8
1.3.4) Windows kernel-mode Drivers (keyboard layout) 취약점, 권한 상승 문제점(問題點) 9
1.3.5) Windows Task Scheduler 취약점, 권한 상승 문제점(問題點) 9
1.3.6) Siemens SIMATIC WinCC Default Password Security Bypass 취약점 10
2. Metamorphic malware로 분류되는 악성 코드의 난독화 방법 종류 11
2.1) Metamorphic 기법 개요 11
2.2) Metamorphic malware의 난독화 방법 12
2.2.1) 데이터 난독화 기법 (Data Obfuscation) 12
2.2.2) 죽은 코드 삽입 기법 (Dead Code Insert) 13
2.2.3) 레지스터 재할당 기법 (Register Reassignment) 14
2.2.4) 흐름 난독화 기법 (Control flow obfuscation) 15
1. 악성 코드 stuxnet이 사용한 취약점 서술
1.1) 스턱스넷(Stuxnet)
스턱스넷(Stuxnet)이란 2xxx년 7월에 발견된 ‘슈퍼 산업 시설 바이러스 웜’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