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협약의 체결 및 체결권의 문제에 대한 노조법상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12 18:27본문
Download : 단체협약의 체결 및 체결권의 문제에 대한 노조법상 연구_5012304.hwp
근로…(To be continued )
설명
단체협약의 체결 및 체결권의 문제에 대해 노조법을 바탕으로 하여 정리(arrangement)하였습니다.,법학행정,레포트
Download : 단체협약의 체결 및 체결권의 문제에 대한 노조법상 연구_5012304.hwp( 96 )
단체협약의체결및체결권의문제
단체협약의 체결 및 체결권의 문제에 대한 노조법상 연구
레포트/법학행정
1. 단체협약(Collective Agreement)의 체결방식
2. 단체협약 체결의 법적 효율
3. 단체협약의 체결권에 관하여
2. 단체협약 체결의 법적 효율
⑴ 단체협약은 체결됨과 동시에 그 협약에 내재하는 「평화의무」가 발생한다. 평화의무란 단체협약의 유효기간 중에는 그 내용의 개폐를 둘러싼 쟁의행위를 할 수 없다는 노사쌍방의 의무를 말한다.
단체협약의 체결 및 체결권의 문제에 대해 노조법을 바탕으로 하여 정리하였습니다.
⑵ 단체협약은 체결됨과 동시에 그 내용을 준수할 의무가 발생한다. 단체협약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동법 제92조의 규정에 따른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단체협약의체결및체결권의문제 , 단체협약의 체결 및 체결권의 문제에 대한 노조법상 연구법학행정레포트 ,
순서
다. 또한 채무적 부분의 불이행시에는 그에 따른 손해배상책임도 발생할 수 있다아
【참고】헌법재판소 1998. 3. 26 결정, 사건 96헌가 20 노동조합법 §46의3 위헌 제청
구 노동조합법 제46조의3의 “입법취지는, 단체협약을 강제적으로 준수하도록 하여 근로자의 권익보호, 노사관계의 안정 및 산업평화의 유지를 꾀하겠다는 데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당시의 노사현실, 근로자나 노동조합의 지위 등에 비추어 그 입법의 취지를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아니나, 노사간의 자치법규인 단체협약 위반행위 그 자체를 형벌로써 제재하는 이러한 입법례는 그 유례를 찾아보기 어렵고, 노동관계법의 전체적인 체계에 비추어 볼 때에도 적절한 것이라고 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