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의 개념, 성격 및 향가의 26수 적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01 12:40본문
Download : 향가의 개념, 성격 및 향가의 26수.hwp
향이란 말이 본디 나라를 뜻하는 말이여 시골이라는 말로 쓰이게 된 것은 훨씬 후대의 의미 변천에 속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행귀가 향가를 한시로 번역한 이유는, 향가를 china의 문풍과 비교되는 특징을 가진 하나의 시풍으로 구별하고, 그러한 시풍에 높고 깊은 뜻을 담은 균여의 향가 11수를 china에까지 알리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
Download : 향가의 개념, 성격 및 향가의 26수.hwp( 67 )
정인보는 사뇌가라는 말을 시골노래로 풀이하여 향가와 일치되는 말로 보았다. 예를 들어 ‘향’이 시골을 뜻하는 일반적인 관념으로 사용된 말로서 시골의 노래를 지칭하는 것이냐, 아니면 국가라는 관념, 특히 우리나라라는 개별적인 의미를 가진 낱말로서, 향가란 결국 다른 나라의 시가와 상대적인 우리나라의 노래 일반을 지칭하는 관념으로 사용된 것이냐 하는 점이 우선 생각되어야 할 문제라 한다. 하지만 양주동의 경우는 사뇌라는 말을 (東川, 東土)라고 풀이하여 동방의 노래로 보고, 이와 관련지어 향가를 그 전의라고 보았다. 하지만 향가라는 말 자체에서 ‘향(鄕)’과 ‘가(歌)’가 뜻하는 내용은 일반성과 개별성이란 점에서 재고를 요한다고 한다. 그러므로 때때로 천지와 귀신을 감동케 하는 것이 한 둘이 아니었다.
향가의 개념, 성격 및 향가의 26수 적용
[ 출 처 ] 균여전 여가현덕분 서문
향가의 관념, 성격 및 향가의 26수 적용
.
향가의 개념, 성격 및 향가의 26수 적용
[ 설 명 ] 향가라고 하는 명칭은 위에서 보듯 균여전, 삼국유사에 나오고 있는 바, 이는 동일한 시가 장르를 지칭하는 관념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향가의 개념, 성격 및 향가의 26수 적용 향가의 개념, 성격 및 향가의 26수 적용 향가의 개념, 성격 및 향가의 26수 적용
향가의 개념, 성격 및 향가의 26수 적용
향가의 개념, 성격 및 향가의 26수 적용
.
설명
[ 해 석 ] 신라 사람들은 향가를 숭상하는 이가 많았는데, 이는 시나 송과 같은 것이다. 특히 이 문제에 관해 관심을 보여온 많은 학자들의 예를 들어보도록 하겠다.
순서
최행귀는 여기에서 균여가 직접 기술한 기록 중 한문으로 쓴 서문과 향찰로 기록된 노랫말을 나누고, 특히 향가의 사설과 뜻이 맑고 곱기 때문에 사뇌라 칭한다고 하였다. [ 설 명 ]
① [詞淸句麗] 사청구려 詞(사사), 淸(아주맑다), 句(구절이), 麗(아름답다)
[ 해 석 ] 팔, 구행의 한문으로 쓴 서문은 뜻이 넓고 글이 풍부하며, 열한수의 향가는 사설이 맑고 문구가 고우니 그리 지어진 까닭에 사뇌라 부른다. 따라서 양주동이 설명(說明)하고 있는 향이란 결국 동방의 나라인 우리나라를 지칭하는 말이라는 것이다.
[ 출 처 ] 삼국유사
다. 두 책을 통해 위의 한문들을 해석해보고 거기서 향가 혹은 사뇌가의 definition 를 우선 내려보려고 한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② [羅人尙鄕歌者尙矣 蓋詩訟之類歟 故往往能感動天地鬼神者非一]
한편 이와는 다른 설명(說明)이 홍기문에 의해 제기되었다. 홍기문은 향가의 본래 의미가 나라의 노래, 특히 우리나라의 노래라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하였
향가의 개념, 성격 및 향가의 26수 적용
위의 용어들이 나온 출처는 삼국유사와 균여전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