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M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23 00:54본문
Download : ASEM.hwp
1990년대 들어 유럽의 주요국가들은 경제적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한국·홍콩·싱가포르등 아시아의 신흥 경제국들과의 관계강화에 관심을 보이기 처음 하고, 아시아국가들도 유럽과의 관계강화 必要性을 인식하여, 양 지역간 상호관계 강화를 위한 공동인식이 형성되었다. 이에 비해 아시아와 유럽지역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연계성이 미약하여 북미.유럽, 아시아.북미간의 관계에 비해 뒤지는 실정이었다.그럼 자료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경제통합]ASEM , ASEM경영경제레포트 ,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ASEM
,경영경제,레포트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2. ASEM 탄생의 배경
1990년대에 들어서 냉전종식에 따라 정치적으로는 미·소를 축으로 하는 양극체제가 무너지고, 경제·사회적으로는 세계화 추세가 대두되면서 아시아, 북미, 유럽등 3개지역을 축으로 한 새로운 국제 질서가 형성되고 있다아 따라서 이들 세 지역간에 상호 대화의 채널을 확립하고 또한 균형적인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세계경제의 안정적 성장뿐만 아니라 세계평화와 안전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project로 부상하게 되었다.
3. ASEM 회원국
회원국
아시아측 (10)
유럽측(15+1)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베트남,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日本 , 중국(China), 필리핀, 태국, 한국
그리스, 네덜란드, 덴마크, 독일, 룩셈부르크, 벨기에, 스웨덴, 스페인, 아일랜드, 영국,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포르투갈, 프랑스,
핀란드 및 EU 집행위
4.ASEM의 구조
아시아·유럽 정상회의는 아시아와 유럽의 정치, 경…(투비컨티뉴드 )
그럼 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경제통합]ASEM
레포트/경영경제






순서
설명
Download : ASEM.hwp( 16 )
다. 북미는 범대서양자유무역지대(TAFTA)의 구상을 비롯하여 정치.안보.경제. 文化 등 모든 분야에서 전통적으로 유럽과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여 왔고, 아시아와 북미관계도 1989년 발족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를 중심으로 역내협력이 꾸준히 발전되어 왔다. 이에 따라 1994년 10월 싱가포르는 양 지역 국가 정상들이 한자리에 모여 대화를 나눌 ASEM 창설을 제의하였고, 이에 한.중.일.아세안과 구주연합(EU)측이 동의하여 제1차 ASEM이 1996년 3월 태국에서 개최됨으로써 본격적으로 출범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