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생선회 이야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24 10:51본문
Download : [사회과학]생선회 이야기.hwp
이에 저는 9가지 주제로 나누어 보았습니다. 빨리 improvement(개선)이 되어서 우리나라 생선회도 세계화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제일 와 닿았던 부분은 교수님이 매번 강조하시는 우리나라의 비과학적인 식생활입니다. 그러나 ‘봄 도다리 가을 전어’라는 말이 나온 이유는 도다리가 봄에 가장 많이 잡히기 때문입니다.
Ⅰ. 봄 도다리 가을 전어
제철의 의미는 생선이 많이 잡히거나 가장 맛있을 때 쓰이며, 모든 생선은 산란 전에 가장 맛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강의인 ‘life(인생) 노트길(KBS)’은 이번 일 학기 동안 들은 수업의 중요한 부분을 다시 한 번 들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도다리의 경우 산란을 겨울에 하므로 산란 전인 가을이 가장 맛있는 시기입니다. 이에 비해 日本(일본)은 붉은 살생선의 소비가 훨씬 많습니…(생략(省略))
Download : [사회과학]생선회 이야기.hwp( 39 )
사회과학,생선회,이야기,인문사회,레포트
[사회과학]생선회 이야기
설명
순서
[사회과학]생선회 이야기 , [사회과학]생선회 이야기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생선회 이야기
[사회과학]생선회 이야기
레포트/인문사회
다.
Ⅲ. 흰 살생선과 붉은 살생선
생선회의 종류로 흰 살생선과 붉은 살 생선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전국에서 유일한 특색 있는 수업이어서 신선하고 재밌었던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흰 살생선의 소비가 80%를 차지합니다. (전어 회)
Ⅱ. 생선회의 맛
음식을 먹을 때는 5가지의 감각기간으로 맛을 느낍니다. 전어의 경우에는 겨울에 산란하므로 산란 전인 가을이 가장 맛있는 시기가 맞습니다. 이에 생선회를 먹을 때 많이 작용하는 감각기간은 주로 씹는 맛과 미각입니다. 씹는 맛은 육질이 단단한 넙치나 조피볼락 같은 쫄깃쫄깃한 생선에서 많이 느낄 수 있고, 미각은 방어나 참치 같은 기름이 많은 생선회에서 고소한 맛을 혀로 느낄 수 있습니다.
![[사회과학]생선회%20이야기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EC%83%9D%EC%84%A0%ED%9A%8C%20%EC%9D%B4%EC%95%BC%EA%B8%B0_hwp_01.gif)
![[사회과학]생선회%20이야기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EC%83%9D%EC%84%A0%ED%9A%8C%20%EC%9D%B4%EC%95%BC%EA%B8%B0_hwp_02.gif)
![[사회과학]생선회%20이야기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EC%83%9D%EC%84%A0%ED%9A%8C%20%EC%9D%B4%EC%95%BC%EA%B8%B0_hwp_03.gif)
![[사회과학]생선회%20이야기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EC%83%9D%EC%84%A0%ED%9A%8C%20%EC%9D%B4%EC%95%BC%EA%B8%B0_hwp_04.gif)
생선회 이야기
`목차`
Ⅰ. 봄 도다리 가을 전어
Ⅱ. 생선회의 맛
Ⅲ. 흰 살 생선과 붉은 살생선
Ⅳ. 가장 맛있는 생선은
Ⅴ. 양식산과 자연산
Ⅵ. 부산생선의 경쟁력
Ⅶ. 잘못된 조리법의 생선회
Ⅷ. 한국과 日本(일본)의 식문화 차이
Ⅸ. 한국 생선회의 세계화
[들어가면서]
20년간 생선회를 연구하신 조영제 교수님의 강의를 1학기 동안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