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적 단어의 형태 통사론] 어근적 단어의 형태 통사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22 04:50본문
Download : 어근적 단어의 형태 통사론.hwp
따라서 어근적 단어는 어떤 식으로든 이 두 가지 속성이 모두 어휘부에 반영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이제 우리는 이러한 어근적 단어들이 어휘부에 어떻게 저장되는 지에 대해 살펴 보도록 한다. 일단 우리는 어휘부의 각 成分들은 자질의 묶음이라는 선험적인 가정을 취하는 것으로 논의를 처음 하고자 한다. 어휘부의 어휘항목이 자질의 묶음(bundle of features)으로 되어 있다는 주장은 Chomsky(1995)에서 제안되었다.






1. 서론, 2. 어근과 어근적 단어, 3. 어근적 단어의 유형, 4. 어근적 단어의 자질 정보, 5. 結論(결론) 및 남은 문제, , , , , , , filesize : 62K
순서
어근과,어근적,단어,어근적,단어의유형,어근적,단어의자질,정보,근적,단어의형태,통사론,인문사회,레포트
1. 서론
2. 어근과 어근적 단어
3. 어근적 단어의 유형
4. 어근적 단어의 자질 정보
5. 結論 및 남은 문제
4. 어근적 단어의 자질 정보 앞 장의 논의를 통해 우리는 ‘-하-, -대-, -거리-’와 결합하는 어근이 어근적 단어의 범주 속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혔다. …(skip)
[근적 단어의 형태 통사론] 어근적 단어의 형태 통사론
설명
Download : 어근적 단어의 형태 통사론.hwp( 75 )
1. 서론, 2. 어근과 어근적 단어, 3. 어근적 단어의 유형, 4. 어근적 단어의 자질 정보, 5. 결론 및 남은 문제, , , , , , , FileSize : 62K , [근적 단어의 형태 통사론] 어근적 단어의 형태 통사론 인문사회레포트 , 어근과 어근적 단어 어근적 단어의유형 어근적 단어의자질 정보 근적 단어의형태 통사론
레포트/인문사회
다. 어근적 단어는 단어의 구성소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형태론적 대상이면서, 동시에 보조사와 결합하여 문장에서 기능할 수 있는 요소라는 점에서 통사론적 대상이다. 여기서는 관련된 자질에 대상으로하여만 논의하기로 한다. 또한 다음과 같은 자질이 어휘부의 어휘항목에 포함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