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의 윤리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21 22:52본문
Download : 동양의 윤리사상.doc
공자는 인을 인간의 본성이며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타고난 성품으로 이해하고 있따 인이란 인간의 선천적 본질이며, 개개인이 선천적…(To be continued )
공자 이전에는 신(神), 상제(上帝), 귀신(鬼神) 등의 문제에 많은 관심들이 있었다. 그러나 공자에 와서 인간의 자각이란 위대한 발견을 하게 됨으로써 모든 관심이 인간에 집중되었다.
1.1. 인간에 대한 자각공자 이전에는 신(神), 상제(上帝), 귀신(鬼神) 등의 문제에 많은 관심들이 있었다. 그러므로 진리는 인간이 아니면 공허하고 맹목적일 수밖에 없다. 즉 진리는 인간의 자기인식과 자각으로부터 파지되고 구현되는 것이지, 진리가 인간을 구원하고 인간되게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공자에 와서 인간의... , 동양의 윤리사상인문사회레포트 ,
1.1. 인간에 대한 자각
공자 이전에는 신(神), 상제(上帝), 귀신(鬼神) 등의 문제에 많은 관심들이 있었다. 그래서 그는 신이나 내세에 대한 논의를 배격하여, 자로(子路)가 귀신과 죽음에 대상으로하여 물었을 때 “사람도 제대로 섬기지 못하는데 어찌 귀신을 섬길 수 있겠는가? 아직 삶에 대상으로하여도 알지 못하는데, 어찌 죽음에 대상으로하여 알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그래서 공자의 인을 정확히 정이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1.2. 인(仁)의 윤리
‘인(仁)’은 공자사상의 정수(精髓)이며 극치이다. 그러나 공자에 와서 인간의...
동양의 윤리사상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동양의 윤리사상.doc( 62 )
1.1. 인간에 대한 자각
설명
다. 따라서 china 歷史(역사)상에서 인간의 자각을 최초로 실현한 인물은 바로 공자이다. 따라서 진리의 뿌리는 인간성에 있으며, 그 인간성에 의해서 이해되고 실현될 수 있따 공자가 인간 그리고 인간의 삶에 애정을 갖고 다른 세계에 대상으로하여 덜 관심을 갖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인간과 삶과 죽음의 영역에서 공자는 인간과 그 삶의 세계에 주안점을 두었던 것이다. 그런데 공자는 인을 말할 때에 상대방에 따라서 다르고, 또 언제나 인의 일부분을 말하던지 인을 행하는 방법을 말할지언정 인 전체를 명쾌히 밝힌 적이 없다. 즉, 귀신, 신령, 천(天), 죽음의 영역은 인간 밖의 세계이지 삶의 세계는 아니라는 것이다. 『논어』 총 482장 중에 58장이나 인에 대상으로하여 논하고 있으며, 105자가 수록되어 있따 그 만치 인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것이다.
그는 “인간이 진리를 널리 펴는 것이지, 진리가 인간을 널리 펴는 것이 아니다”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