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지’ ‘조차’ ‘마저’의 의미 구조 analysis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20 20:49
본문
Download : `까지’ ‘조차’ ‘마저’의 의미 구조 분석.hwp
(6) 솔이는 공부조차 잘한다.
(4) 솔이는 공부만 잘한다. (양귀자, 천마 총 가는 길)
(8) 좋은…(skip)






`까지’ ‘조차’ ‘마저’의 의미 구조 analysis
`까지’ ‘조차’ ‘마저’의 의미 구조 analysis에 대한 資料입니다. 까지조차마저의의미구 , `까지’ ‘조차’ ‘마저’의 의미 구조 분석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Download : `까지’ ‘조차’ ‘마저’의 의미 구조 분석.hwp( 42 )
I. 서론
국어에서의 조사는 일반적으로 격조사와 특수조사로 나뉜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 ‘까지’, ‘마저’, ‘조차’의 의미 分析(분석)에 있어 일차원적인 分析(분석) 방법이 사용된 반면, 필자는 복합적인 分析(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의미 구조에 대한 명료성을 확보하기로 한다.
특히 특수조사는 격표시 기능을 갖지 않지만, 주어진 발화에 마주향하여 특별한 의미 부여 기능을 갖는 것으로 여겨진다.
(3) 솔이는 공부야 잘한다. 일차원적인 分析(분석) 방법으로는 설명(說明)이 미흡한 문장들을, 복합적인 分析(분석)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상기의 세 조사들이 지니는 미묘한 뉘앙스의 차이를 구분해 낼 수 있다
(7) 그는 물론이고 그의 누나나 여동생까지 ( 조차, 마저 ) 도 아버지를 포기하고 사는 법부터 익혔다.
(2) 솔이는 공부도 잘한다.까지조차마저의의미구
,인문사회,레포트
`까지’ ‘조차’ ‘마저’의 의미 구조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따라서, 종래의 특수조사 연구에서는 주로 그 의미 分析(분석)을 중점적으로 다루어 왔다.
격조사가 명사 뒤에 연결되어 그 명사의 격을 나타내주는 일련의 조사를 일컫는다면(이익섭 외, 1985: 162), 특수조사는 격을 나타내지 않고, 명사뿐만 아니라 부사나 형용사, 동사 등과도 다양하게 결합되는 조사를 말한다.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다.
(5) 솔이는 공부까지 잘한다.
(1) 솔이는 공부는 잘한다.
(1) ~ (6)까지의 발화가 특수조사를 제외하고는 모든 component이 같은데, 이들 문장의 의미가 각각 다르게 느껴지는 것은 특수조사가 이들 각 문장의 의미 차이를 가져오기 때문일것이다
특수조사들 중에서 공통되는 의미 영역을 가짐으로 해서 하나의 범주로 묶이는 조사들이 있는데, 본고에서는 그 중에서도 ‘까지’, ‘마저’, ‘조차’의 의미 分析(분석)을 통해, 어떤 부분이 공유의 의미이고 어떤 부분이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살펴보기로 하겠다. 여기서특수조사는 종래 한정조사, 보조사, 후치사 등으로 불리워졌던 것을 모두 포함하는 concept(개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