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상변압기의 무부하속성 시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22 07:37
본문
Download : 단상변압기의 무부하특성시험.hwp
설명
단상변압기의 무부하속성 시험
순서
,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공학기술
단상변압기의 무부하특성시험에 대한 실험보고서 자료입니다. 그러므로, 전력계의 지시값은 바로 철손, 즉 무부하손을…(생략(省略))
[전기]실험보고서3학년2학기#7





다.
이 방법에 의하여 측정(測定) 한 손실 중에는 2차 권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생기는 동손과 절연물 중위 유전체손도 포함되어 있으나 이것은 2차 권선의 저항이 작으므로 동손도 아주 작고, 또 전압이 매우 높은 것 이외는 유전체손도 작으므로 철손에 비하여 무시할 정도이다.
【2】 원리
변압기의 철손과 여자전류는 철심 중의 최대자속밀도 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이 최대 자속 밀도 은 같은 실효값의 전압이라고 파형에 의하여 일정하지 않다. 그러므로, 전압은 될 수 있는 대로 정현파형의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좋다.
【1】 목적
【2】 원리
【3】 test(실험) 방법
【4】 주의 사항
【5】 test(실험) 결과
【6】 연구고찰사항
【1】 목적
단상변압기에 전압을 공급할 경우 무부하손(철손)과 여자전류를 측정(測定) 하여 무부하특성(特性)을 이해하고, 또 여자 어드미턴스(exciting admittance), 여자 콘덕턴스(exciting conductance), 여자 서셉턴스(exciting susceptance), 무부하 역률을 계산한다.[전기]실험보고서3학년2학기#7 , 단상변압기의 무부하특성시험공학기술레포트 ,
Download : 단상변압기의 무부하특성시험.hwp( 82 )
단상변압기의 무부하속성 시험에 대한 실험보고서 자료(資料)입니다.
가령 전압계의 지시가 일정하더라도 전압의 파형이 다르면 최대 자속밀도가 달라지고 따라서 철손과 여자전류에도 다소의 influence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