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일반화학experiment(실험)] 평형상수의 결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6-10 02:19
본문
Download : [자연과학][일반화학실험] 평형상수의 결정(2).hwp
즉 용액에 의하여 빛이 흡수…(투비컨티뉴드 )
[자연과학][일반화학실험] 평형상수의 결정 , [자연과학][일반화학실험] 평형상수의 결정화학실험결과 , 자연과학 일반화학실험 평형상수 결정
![[자연과학][일반화학실험]%20평형상수의%20결정(2)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5B%EC%9D%BC%EB%B0%98%ED%99%94%ED%95%99%EC%8B%A4%ED%97%98%5D%20%ED%8F%89%ED%98%95%EC%83%81%EC%88%98%EC%9D%98%20%EA%B2%B0%EC%A0%95(2)_hwp_01.gif)
![[자연과학][일반화학실험]%20평형상수의%20결정(2)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5B%EC%9D%BC%EB%B0%98%ED%99%94%ED%95%99%EC%8B%A4%ED%97%98%5D%20%ED%8F%89%ED%98%95%EC%83%81%EC%88%98%EC%9D%98%20%EA%B2%B0%EC%A0%95(2)_hwp_02.gif)
![[자연과학][일반화학실험]%20평형상수의%20결정(2)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5B%EC%9D%BC%EB%B0%98%ED%99%94%ED%95%99%EC%8B%A4%ED%97%98%5D%20%ED%8F%89%ED%98%95%EC%83%81%EC%88%98%EC%9D%98%20%EA%B2%B0%EC%A0%95(2)_hwp_03.gif)
![[자연과학][일반화학실험]%20평형상수의%20결정(2)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5B%EC%9D%BC%EB%B0%98%ED%99%94%ED%95%99%EC%8B%A4%ED%97%98%5D%20%ED%8F%89%ED%98%95%EC%83%81%EC%88%98%EC%9D%98%20%EA%B2%B0%EC%A0%95(2)_hwp_04.gif)
Download : [자연과학][일반화학실험] 평형상수의 결정(2).hwp( 99 )
다.
이 實驗(실험)에서는 착이온 (FeSCN2)이 생성되는 reaction(반응)의 평형상수를 측정(測定) 한다. 질산철 Fe(NO₃)₃ 용액과 싸이오사이안산 칼륨 (KSCN) 용액을 섞으면 짙은 붉은색의 착이온인 FeSCN2가 만들어진다.
2. theory
reaction(반응)물을 섞어서 적당한 조건을 만들어주면 생성물이 만들어지기 스타트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생성물이 만들어지는 정reaction(반응)과 생성물이 다시 reaction(반응)물로 되돌아가는 역reaction(반응)이 정확하게 같은 속도로 일어나기 때문에 겉보기에 아무런 변화가 없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화학reaction(반응)이 평형에 도달했을 때, reaction(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는 일정한 관계를 갖게된다 평형에서 reaction(반응)물과 생성물의 상대적인 양의 비는 평형상수로 나타낼 수 있다 평형상수는 온도에 따라 다른 값을 갖지만, 처음에 넣어준 reaction(반응)물의 양에 따라서 달라지지는 않는다.
설명
[자연과학][일반화학experiment(실험)] 평형상수의 결정
[자연과학][일반화학experiment(실험)] 평형상수의 결정
순서
실험결과/화학
자연과학,일반화학실험,평형상수,결정,화학,실험결과
[일반화학實驗(실험)] 평형상수의 결정
1. 목적
색깔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농도를 알아내어 착이온 생성reaction(반응)의 평형상수와 용해도곱 상수를 결정한다. 그러나 이런 reaction(반응)은 언제까지나 진행되지 않고, 시간이 지나면 더 이상 reaction(반응)이 진행되지 않는 평형에 도달하게 된다 이런 평형 상태에서는 reaction(반응)물이 소모되지도 않고, 생성물이 더 이상 만들어 지지도 않아서 겉보기에는 아무런 화학reaction(반응)이 진행되고 있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Fe3 (aq) + SCN (aq) FeSCN2 (aq)
이 reaction(반응)의 평형상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eSCN2]
K 〓
[Fe3][SCN]
넣어준 Fe3 와 SCN 의 농도가 각각 a와 b이고, 평형에 도달했을 때 FeSCN2 이온의 농도가 x 라면 평형상수는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x
K 〓
(a-x)(b-x)
빛을 흡수하는 물질이 녹아있는 용액의 흡광도는 베르의 법칙(Beer`s law)를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