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 학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25 05:36
본문
Download : 제주도의 학살.hwp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제주도의 학살.hwp( 75 )
설명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실제의 피해보다 훨씬 축소된 제주도의회 신고 reference(자료)에 의하더라도 마을별 사망자 숫자는 상상을 뛰어 넘는다.
희생자 숫자도 엄청나지만 이 수치 만을 보고 피해 정도를 모두 표현할 수는 없다. 인륜마저 저버렸다.
그럼 자료(資料)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제주도의 학살
Ⅰ. 머리말
Ⅱ. 학살
Ⅱ-1. 표선 한모살
Ⅱ-2. 성산 터진목
Ⅱ-3 성산 우뭇개
Ⅲ. 잃어버린 마을
Ⅲ-1. 노형(함박이굴, 방일리, 개진이, 드르구릉)
Ⅲ-2. 곤을동
Ⅳ. 조사를 마무리 하며
Ⅴ. Reference List
Ⅱ. 학살
1948년 한반도의 남쪽 섬 제주도에는 광란의 바람이 휘몰아쳤다. 법을 지켜야 할 공권력이 무수히 법을 어겼다. 한국전쟁이 우리 민족의 최대 비극이었다면, 그 버금가는 참극이 바로 제주 4 · 3이다. 희생자 숫자에 대상으로하여는 여러 주장들이 있지만, 3만 명 안팎이란 주장이 설득력이 있다 당시 섬 주민을 27만 명으로 봤을 때 전체 인구 9명 중 1명이 희생된 것이다. 그럼에도 공권력에 의해 전쟁 상황을 뛰어넘는 학살극이 자행됐다. 양민 집단학살은 제주도 곳곳에서 일어났지만 바깥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다. 봉개리 591명, 아라리 56…(省略)
순서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제주도 주민들은 미군정이 실시한 남한 단독선거를‘한반도를 남과 북으로 영구히 분단시키는 선거’라고 주장하며 반대하고 나섰다가 참혹한 희생을 치른 것이다. 포로에 대상으로하여도 보호하는 국제 규약이 있다 이것이 문명사회의 기본 철칙이다. 미군정 시절인 1948년의 제주도는 전쟁 지역이 아니었다. 그러나 1948년 제주도에서는 이 기본 철칙이 완전히 상실됐다.
전쟁 중에도 군법이 있다 적군과의 교전 중이더라도 상대방이 전투를 계속할 능력이 없을 때는 함부로 살해해서는 안 된다된다. 무差別(차별) 학살로 갓난아기부터 허리가 꼬부라진 노인들까지 처참하게 희생됐다. 사망자 가운데 90% 가까이가 군인과 경찰 등 토벌대의 총칼에 희생됐다. 인간이 인간에게 가할 수 있는 가장 잔혹한 방법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학살됐다. 수치로 집계될 수 없는 것들, 가령 돌이킬 수 없는 고통을 간직한 채 숨을 죽이고 살아가고 있는 4 · 3 피해자와 유족들이 엄연히 존재하고 있는데도 이를 방관해 온 이 나라, 이 사회의 부도덕한 윤리성에 더 큰 문제가 있다
4 · 3은 단순히 제주도 사건으로 치부할 수 없는 대사건이다.그럼 자료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43 , 제주도의 학살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43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