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20 23:36
본문
Download :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hwp
1단계인 ‘색성시공 공성시색’은 물질적 존재를 우리들은 현상으로서 포착하지만 현상이라는 것은 무수한 Cause 과 조건에 의해 시시각각 變化(변화)해 가는 것이므로 變化(변화)하지 않는 실체란 전혀 없다. 이것이 2단계가 가지는 의미이다.
,감상서평,레포트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레포트/감상서평
색불이공공불이색색즉시공공즉시색 ,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감상서평레포트 ,
순서
색불이공공불이색색즉시공공즉시색
Ⅰ. 주제 선정 동기
Ⅱ. `색즉시공 공즉시색`의 일차적인 뜻
Ⅲ. 여러 가지 해석
① 불교의 해석
1. ‘안경 만수자’ 이야기
2. 색성시공 공성시색(色性是空 空性是色)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3. 반야심경 주해(注解)
4. 정혜선방
② 다른 종교의 해석
1. 증산도
2. 원불교
Ⅳ. 結論
2. 색성시공 공성시색(色性是空 空性是色)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이 책 이기영, 반야심경 금강경, p30-34, 한국불교연구원, 1997.
에 의하면 반야심경 원문에서는 색과 공과의 관계가 3단으로 나뉘어 설명(說明)되고 있으나, 현장은 2단으로밖에 나누지 않았다고 한다.
3단계인 ‘색즉시공 공즉시색’은 1단계, 2단계가 체험적으로 파악된 세계이다. 또 시시각각으로 變化(변화)하고 있으므로 현상으로서 나타나고, 그것을 우리들은 존재로 포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우리로서는 실체가 없다고 하는 그 혼돈된 주객미분의 세계를 유일한 것, 전일(全一)한 것, 하나가 전체이고 전체가 하나인 것으로서 실감상(實感上)으로 파악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그것을 위해서 현상에 먼저 눈을 돌리고 가방편(假方便)으로 그것에 근거를 두지 않으면 안된다 현상은 실체가 없다는 점에서, 다시 말하면 모든 것과 서로 관계하는 것에 의해서 현상으로 성립하고 있는 것이므로, 현상을 투철하게 보는 것을 통해서 일체가 Cause 과 조건에 의해 관계하고 움직이고 있다는 이 연기(緣起)의 세계가 체득도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을 위해서, 예컨대 임시로 이 ‘나’라고 하는 현상을 움직이지 않는 것이라고 가정해 놓고 다른 것들과의 연관을 보지 않으면 안된다 그 때에 이 ‘나’라고 하는 현상이 ‘나’아닌 다른 것들에 의해서 밖으로부터 규정되면서 현재의 ‘나’와는 다른 ‘나’, ‘나’ 아닌 ‘나’로서 성립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결국 theory 적으로 말하면 일체의 것은 늘 자기에게 대립하고 자기를 부정하는 것에 의해서 한정된다는 관계에 서서 한정되는 것에 의해서 자기를 긍정해가는 그러한 작용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말로…(省略)
설명






Download :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hwp( 81 )
다. 2단계인 ‘색불이공 공불이색’은 1단계의 사상적 표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