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2학기 한국한문학의이해 중간시험과제課題물 공통(한시를 고체시와 근체시로 분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7 10:03
본문
Download : 20192_중과_국문4_한국한문학의이해_공통.zip
한자로 표기된 문학이라 해도 사용된 언어에 따라 달리 구분할 수 있으니, 中國문학의 경우 현대 이전의 문언으로 쓰여지지 않은 문학, 즉 구어 또는 백화로 된 `수호지`등의 소설이 바로 그것이다. 즉, 古體詩는 당나라 때 갖추어진 嚴格한 規則에 맞지 않은 詩 全體를 말한다. 그러나 한국한문학의 경우는 구어가 아닌 문언을 그 표현수단으로 삼았다. 따라서 근체시란 남북조시대에서 기원하여 당대에 성운의 규칙을 잘 지킨 시를 의미하게 되었다.
이 레포트는 한시를 고체시(古體詩)와 근체시(近體詩)로 분류하고 각각의 시체(詩體)가 가지는 성격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것도 구어가 아닌 문언으로 현대어가 아닌 고대어로 쓰여진 문학을 말한다. 고체시란 근체시와 상대적인 명칭이다. 일부 극소수 백화체를 수용한 경우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은 무시해도 좋을 정도의 예외에 불과하다.
4. 시사점.hwp
2. 근체시(近體詩).hwp
Ⅱ. 본 론
- 중략 -
I. 서 론
1. 한시의 분류와 특징
2. 시체(詩體)가 가지는 성격
6. 結論(결론) 작성시 참조.hwp
<< 함께 제공되는 참고 한글파일 >>
2) 근체시(近體詩)
한문학이란 위에서 말한 것처럼 한자로 표기된 문학이다. 古體詩라는 이름은 近體詩와 구별하기 위하여 쓰인 것이기에 近體詩의 形式에 맞지 않은 詩를 모두 포함한다.
한시는 크게 고체시와 근체시로 나누어진다. I. 서 론
한국한문학의이해,방통대한국한문학의이해,방송대한국한문학의이해,한국한문학의이해과제물,한국한문학의이해과제,한국한문학의이해레포트
1) 고체시(古體詩)
한시를 고체시(古體詩)와 근체시(近體詩)로 분류하고 각각의 시체(詩體)가 가지는 성격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 목 차 -
출처
1) 고체시(古體詩)
1) 고체시(古體詩)
근체시는 육조말엽인 양 무제(483~493)때에 침약(441~513)의 `사성론`이 나오면서부터 스타트되었다. 고체시는 고시에 해당하는 오언고시와 칠언고시, 그리고 악부시가 있으며, 근체시는 절구의 경우 오언절구, 칠언절구 그리고 율시에 해당하는 오언율시, 칠언율시, 배율(오언 또는 칠언배율) 등으로 분류할 수 있따
1. 한시의 분류와 특징
5. 서론 작성시 참조.hwp
방송통신 > 중간과제물
III. 결 론
3. 한시(漢詩)에 대한 개요.hwp



2019년 2학기 한국한문학의이해 중간시험과제課題물 공통(한시를 고체시와 근체시로 분류)
1. 고체시(古體詩).hwp
2) 근체시(近體詩)
순서
Download : 20192_중과_국문4_한국한문학의이해_공통.zip( 75 )
설명
II. 본 론
한시를 고체시(古體詩)와 근체시(近體詩)로 분류하고 각각의 시체(詩體)가 가지는 성격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 목 차 - I. 서 론 II. 본 론 1. 한시의 분류와 특징 1) 고체시(古體詩) 2) 근체시(近體詩) 2. 시체(詩體)가 가지는 성격 1) 고체시(古體詩) 2) 근체시(近體詩) III. 결 론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고체시(古體詩).hwp 2. 근체시(近體詩).hwp 3. 한시(漢詩)에 대한 개요.hwp 4. 시사점.hwp 5. 서론 작성시 참조.hwp 6. 결론 작성시 참조.hwp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