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ion.co.kr 광진구의 역사(歷史)와 문화유적 > nation2 | nation.co.kr report

광진구의 역사(歷史)와 문화유적 > nation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nation2

광진구의 역사(歷史)와 문화유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3 17:22

본문




Download : 광진구의 역사와 문화유적.hwp




실제로 아차산에 올라 보면 한강과 강남 일대가 한 눈에 바라다 보일 뿐 아니라 멀리 경기도 양수리 일대까지 바라다 보여 남쪽의 신라와 백제 두 나라에서 올라오는 군사…(drop)
순서


Download : 광진구의 역사와 문화유적.hwp( 59 )


광진구의%20역사와%20문화유적_hwp_01.gif 광진구의%20역사와%20문화유적_hwp_02.gif 광진구의%20역사와%20문화유적_hwp_03.gif 광진구의%20역사와%20문화유적_hwp_04.gif 광진구의%20역사와%20문화유적_hwp_05.gif 광진구의%20역사와%20문화유적_hwp_06.gif





광진구의 여사와 문화유적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한 자료입니다.광진구의역사와문화유 , 광진구의 역사와 문화유적인문사회레포트 ,
광진구의역사(歷史)와문화유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광진구의 역사(歷史)와 문화유적





,인문사회,레포트
광진구의 여사와 문화유적에 마주향하여 자세하게 서술한 data(자료)입니다. 이곳에서 가까운 송파구 방이동·석촌동 일대에는 백제 시대의 왕릉으로 추정되는 수많은 옛무덤이 있어서 더욱 신빙성이 있다아
그렇다면, 강동구의 한강 건너 편인 광진구 일대, 특히 아차산 일대는 백제의 수도 방위를 위해 지리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이 된다된다.


다. 북쪽의 강대국 고구려로부터 수도를 방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 아차산 일대에 산성을 쌓고 이를 지켜야 하는 것이다.

구의동에서 발견된 고구려 군사 유적이라든지, 아차산 일대 능선을 따라 줄지어 발견되는 보루성(堡壘城 : 봉우리나 능선에 설치한 초소 성격의 작은 성) 흔적들에서는 고구려의 토기, 철제 무기류 등이 다량으로 발굴되어 그러한 추정을 신빙성 있게 한다. 백제의 초기 서울인 하남 위례성(河南 慰禮城)이 정확하게 어느 곳 인가는 아직도 분명하게 밝혀져 있지 않지만, 대체로 서울 강동구의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일대가 그곳이라는 학설이 가장 유력하다. 그밖에도 광진구 일대에서는 백제의 옛무덤 유적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한강 유역을 차지한 고구려는 신라와 백제 두 나라의 세력을 동시에 감시하고 견제할 수 있는 곳으로 광진구 일대에 대대적인 군사 시설을 설치하여 방어하게 된다된다. 지금도 아차산 일대의 아차산성과 기타 산성 흔적 주변에서 백제의 토기, 기와 조각 등이 많이 발견되고 있는 것은 백제가 이 지역에 중요한 군사 시설을 두고 있었음을 잘 알 수 있게 해준다. 한강 유역에 나라를 세우고 발전한 것은 백제이다.

그러다가 5세기에 고구려 장수왕이 강력한 남진정책(南進政策)을 취하자 백제는 고구려의 힘을 막지 못하고 충남 공주로 수도를 옮겨 내려가고, 한강 유역은 고구려의 영토가 되는데, 이때에 광진구 일대도 고구려의 영토로 편입된다된다.
1. 광진의 산과 물과 땅 (광진구의 자연 環境(환경))

2. 광진의 사람, 그 삶의 자취 (광진구의 history(역사) 개관)

(1) 광진구의 주요 연혁
(2) 처음 삶을 연 신석기·청동기 사람들
(3) 삼국의 쟁패와 삼국 통일의 기초가 된 광진의 땅
(4) 조선시대 국방정책과 광진의 살곶이목장·낙천정
(5) 수릉(綏陵)·유릉(裕陵)의 조성과 광진의 alteration(변화)
(6) 도시화되는 광진, 주민자치 시대의 처음

3. 광진의 산, 물, 마을 이름들의 뜻은?

(1) 광진구의 이름이 된 광나루
(2) 아차산의 이름에 얽힌 이야기들
(3) 용마봉과 아기 장사 이야기
(4) 가운데 마을 중곡동
(5) 순명황후의 유릉이 있던 능동
(6) 구정동과 산의동이 합쳐진 구의동
(7) 광진동과 장의동이 합쳐진 광장동
(8) 자마장리에서 자양동으로
(9) 어른들이 즐기는 산이 있던 노유동?
(10) 화양정이 있던 곳 화양동
(11) 모진 동네 모진동?
(12) 왕자가 탄생한 동네 군자동


4. culture유적의 보고(寶庫) 아차산(峨嵯山)을 찾아

(1) 아차산성
(2) 아차산 일대의 고대 군사시설 유적
(3) 아차산 일대의 옛 무덤들
(4) 살곶이 목장 돌담장 유적
(5) 선사시대의 유적
(6) 아차산 봉수대 유적
(7) 아차산의 기타 유적들

5. 광진의 다른 culture유적들

(1) 뚝섬 출토 금동불상의 미소
(2) 고구려의 군사시설(?) 구의동 유적
(3) 백제인의 삶과 죽음을 보여주는 중곡동 고분
(4) 낙천정에서 바라보는 한강의 풍광
(5) 말이 화산 남쪽으로 돌아간다는 화양정 터
(6) 순명황후의 넋이 깃든 유릉 터(어린이대공원)
(7) 전통 사찰의 자취가 남은 영화사

6. 광진의 땅에 얽힌 옛 사람들의 이야기

(1) 광나루에 왕좌의 꿈을 내려놓은 양녕대군
(2) 정선이 그린 한 폭의 산수화 <광진>
(3) 뚝섬, 자양동 일대 채소 농사꾼 “농푸꼬지기”의 삶
(4) 풍수지리설을 반대한 어효첨의 기개
(5) 서거정의(定義) 은거와(隱居) 풍류
(6) 퇴계 이황을 떠나 보내는 정철의 스승 사랑

7. 광진의 민속과 전통 예인(藝人)의 삶

(1) 광나루의 용제를 지내던 양진사
(2) 동제로 마을의 안녕을 빌던 능동 치성당
(3) 광장동 성황당과 미륵당
(4) 전통culture를 지켜 온 예인들(무형culture재)
1) 종묘제례악 예능보유자 김종희
2) 가사 예능보유자 정경태
3) 송파 답교놀이 기능보유자 한천복

8. 광진구의 박물관을 찾아

(1) 건국대학교 박물관
1) 상허기념관 (건국대학교 박물관 건물)
2) 동국정운(東國正韻)
3) 율곡 이이 선생가 분재기
4) 사직동 정재문가(경원당)
5) 고려시대 석탑
6) 조선시대 도자기 떡살
7) 유적지 발굴 활동과 발굴 유물
8) 기획전시회·culture강좌 등의 활동

(2) 세종대학교 박물관
1) 전 고종 익선관
2) 전 고종 갓
3) 전 고종 패옥
4) 별전 괴불
5) 동궁비 원삼
6) 전 황후 황원삼
7) 옥색 명주 장옷
8) 희운문 단 장옷
9) 광화당 원삼
10) 토황색 명주 저고리
11) 동궁비 적의
12) 동궁비 청석
13) 수복 칠보 석류문 황갈단 당의
14) 수복 칠보 석류 보상화문 황갈단 당의
15) 곤룡포 부룡문 보
16) 전 왕비 당의



한강 유역은 우리나라 고대의 삼국시대에 고구려·백제·신라가 나라의 운명을 걸고 싸우던 곳이다.
전체 18,44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nation.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