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권의 복지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13 21:31
본문
Download : 영미권의 복지제도.hwp
복지국가론 , 영미권의 복지제도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영미권의 복지제도
다.
레포트/인문사회
Ⅰ. 영미권 복지제도
1. 영미권 복지제도
Ⅱ. 미국
1. 미국의 사회복지제도의 발전 과정
(1) 전문직의 발달(19세기 중반-1930년대 전후)
(2) 사회복지의 팽창(1930년대- 1970년대)
(3) 사회복지행定義(정이) 본격적 등장(1970년대- 1990년대)
(4) 현재(1990년대- 현재)
2. 미국의 사회복지제도의 특징
(1) 공적부조의 비중이 매우 크다
(2) 능력주의를 기반으로 한다
(3) 주에 따라 복지제도의 격차가 크다
3. 미국의 주요 복지 제도
4. 미국의 복지제도의 문제가되는점
Ⅲ. 호주
1. 호주 사회복지의 발전 과정
(1) 백호주의정책 고수의 시기
(2) 백호주의정책 철회의 시기
2. 호주 사회복지의 특징
(1) 사회부조형, 사회insurance형
(2) 호주의 사회복지서비스
3. 호주의 사회복지 전달체계
4. Centrelink의 구조와 전달체계
(1) Centrelink의 구조
(2) Centrelink의 목적과 기능
(3) Centrelink가 수행하는 program 중 복지서비스와 관련된 부분
(4) Centrelink의 연계구조
(5) Centrelink의 발전 과정
(6) Centrelink의 서비스 전달 모델
(7) Centrelink의 성과
5. 호주 Centrelink의 의의와 課題
6. 호주 Centrelink의 정책적 함의
미국의 사회복지제도의 특징
(1) 공적부조의 비중이 매우 크다
- 종래부터의 전통의 영향으로 사회insurance의 역할이 제한적이고 공적부조의 비중이 비교적 크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미국 복지모형은 개인책임의 원칙을 우선하면서 개인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때 사회복지가 보충적 역할을 담당한다는 보완적(residual) 복지모형에 입각하고 있어 선진국 중 복지문제에 대하여 비교적 소극적 입장인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2) 능력주의를 기반으로 한다
- 개인의 능력을 중시하는 개인주의 영향으로 평등보다는 능력주의의 입장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insurance제도에서도 능력주의적 요소가 비교적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의료문제에서는 일부 국민(노인, 저소득층 등 인구의 약25%)을 제외하는 공적의료보장제도가 실시되지 않고 있어 대부분의 국민이 능력에 따라 민간insurance에 가입하고 있으며 아무런 insurance에도 가입하지 않고 있는 국민도 약 15%수준에 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민이 부담하고 있는 의료비의 수준도 매우 높아 1990년의 경우 국내총생산(GDP)의 약12% 수준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심각한 의료문제를 공적 의료보장 제도에 의하여 해결하겠다고 공약하고 1993년 집권한 클린턴 대통령의 의료개혁안도 성사…(省略)
순서
설명
복지국가론
Download : 영미권의 복지제도.hwp( 67 )
영미권인 미국의 사회복지제도와 호주의 사회복지제도의 특징과 구조에 상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영미권인 미국의 사회복지제도와 호주의 사회복지제도의 특징과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