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불교철학 - 원효, 의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30 13:06
본문
Download : 삼국시대 불교철학 - 원효, 의상.hwp
이것은 불교의 수용이 고대국가의 성립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삼국시대 불교는 인간 사회의 갈등과 모순을 종교적 차원으로 끌어올려 해소하려 하는 등 주로 정신적 측면에서 고등종교로서의 큰 구실을 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서역과 중국의 culture를 우리나라에 전달하여 고대 culture의 발달에 획기적인 전환을 가져왔으며, 아울러 국민 사상을 통합시키려 국력을 강화시킬 수 있었고 중앙집권화에도 크게 도움을 주었다. 고구려에서는 대승불교인 삼론종(三論宗)이 크게 발달하였다. 고구려와 백제에서는 삼론을 비롯한 대승불교가 유행하였고, 신라에서 역시 열반(涅槃)·화엄(華嚴) 등의 대승교학이 성하였다.
.
삼국시대 불교철학 - 원효, 의상
불교는 대체로 삼국이 중앙집권 국가로서의 체제를 정비할 무렵에 전래되거나 공인되었다. 특히 백제에서는 율종(律宗)이 성행하여 계율주의적 실천불교의 성향을 띠게 되었다. 삼국에 있어서 불교를 받아들이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한 것은 왕실이었다. 한국철학사연구회,『한국철학사상사』, 한솔 아케데미 231, 1997, p60
삼국시대 불교철학 - 원효, 의상
.
삼국시대 불교철학 - 원효, 의상
삼국시대 불교철학 - 원효, 의상 삼국시대 불교철학 - 원효, 의상 삼국시대 불교철학 - 원효, 의상 삼국시대 불교철학 - 원효, 의상
다. ‘삼론’이란 용수(龍樹)의 『중관론(中觀論)』과『십이문론(十二門論)』 및 제바의 『백론(百論)』을 말하는데, 주로 반야공사상(般若空思想)의 천명에 주력하는 종파가 삼론종이다. 한국철학사연구회,『한국철학사상사』, 한솔 아케데미 231, 1997, p61
불교의 전래와 수용 양상을 보면, 초기에는 대승불교와 소승불교가 뒤섞여 들어왔으나, 중국 교학의 effect(영향) 으로 대승불교가 주류를 이루었다. 불교가 고대 국가의 정신적 지주였을 뿐만 아니라, 왕권의 신장과 국가의 평안, 국민의 정신적 통일에 크게 도움이 되었으므로 국가에서 적극 장려하여 발전하도록 했던 것이다. 대승불교 위주의 경향은 삼국시대로부터 우리나라 불교의 큰 특징 가운데 하나로 내려왔다. 그러나 이에 앞서 진(晉)나라 지둔도림(支遁道林, 314~366)이 고구려 도인(道人)에게 서신을 보내 축도잠(竺道潛)의 도덕을 칭찬한 일 등으로 미루어 보면, 소수림왕 이전에 이미 고구려에서 불교를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기록에서 삼론종 승려들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고 해외에서 활약한 고구려 출신의 승려들 중에 삼론종 계통의 승려가 많기 때문이다 그 밖에 고구려 불교를 말할 때 빠뜨릴 수 없는 것은 해외에
고구려는 소수림왕 2년(372)에 전진(前秦)의 왕 부견(膚見)이 순도(順道)라는 중을 통해 불상과 경문(經文)을 전해옴으로써 불교가 전래되었다. 이어서 아도(阿道)와 담시(曇始)가 내화(來化)함으로써 불교가 점차 민간에 보급되었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삼국시대 불교철학 - 원효, 의상
삼국시대 불교철학 - 원효, 의상
삼국시대 불교철학 - 원효, 의상
Download : 삼국시대 불교철학 - 원효, 의상.hwp( 57 )
삼국시대 불교철학 - 원효, 의상
설명
.





순서
2. 고구려의 불교철학
고구려에서 주로 연구된 것은 삼론종 계통의 불교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