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자의 응용 흐름지수 측정(測定)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6 15:01
본문
Download : 고분자의 응용 흐름지수 측정.hwp
순서
고분자의 응용 흐름지수 측정에 대한 자료입니다. 이 實驗에서의 용융지수 측정(measurement)방법에는 (A)조작법과 (B)조작법이 있따 (A)조작법은 용융지수가 0.15 ~ 50 g / 10 min인 재료에 적용되는 수동조작법이고, (B)조작법은 용융지수가 0.5 ~ 300 g / 10 min인 재료에 적용되는 자동 시간측정(measurement)법이다. 측정(measurement)은 일정 온도(PE : 190℃, PP : 230℃), 일정하중(2.16kg)에서 용융체가 규정된 오리피스(내경 2.09mm, 높이 8mm)을 이동하여 10분간 압출되는 수지의 중량(g)을 말한다. 필요에 따라선 하중을 5.0kg, 21.6kg로 바꾸어 측정(measurement)하기도 한다.
폴리에틸렌은 용융흐름속성 에 의하여 구분할 수 있…(투비컨티뉴드 )
다.
1) 용융지수 (Melt Index)
MI는 Thermoplastic 수지의 유동성을 표시하는 것으로 용융지수가 높을수록 유동성이 좋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가공이 용이하고 토출량은 많게 된다 즉 MI 증가에 따라 고분자의 분자량이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설명
Download : 고분자의 응용 흐름지수 측정.hwp( 13 )






고분자의 응용 흐름지수 측정(測定)
고분자의 응용 흐름지수 측정(測定) 에 대한 입니다.
압출속도는 10분당의 고분자 유출량으로 표시하게 되는데, 이 양을 용융지수 또는 용융유량이라 부른다. 실험1[1].고분자의용융흐름지수측정 , 고분자의 응용 흐름지수 측정공학기술레포트 ,
experiment(실험)1[1].고분자의용융흐름지수측정(測定)
,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공학기술
1. 實驗이론(理論)
모세관형 점도계의 형태를 가진 압출형 플라스토미터를 이용하여 일정한 온도와 압력 조건 하에서 용융된 열가소성 고분자를 규정된 깊이와 지름의 다이를 통해서 일정한 하중으로 압출시킬 때의 압출속도를 측정(measurement)함으로써 용융된 고분자의 유동성을 측정(measurement)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