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rdon의 효율적인 부모훈련 이론(理論)과 행동수정이론(理論) 비교 및 나의 견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16 04:09
본문
Download : Gordon의효율적인부모훈련이론과행동수정이론비교.hwp
Gordon의 효율적인 부모훈련 이론(理論)과 행동수정이론(理論) 비교 및 나의 견해
순서
고든 부모 훈련 이론 행동 / ()
Download : Gordon의효율적인부모훈련이론과행동수정이론비교.hwp( 21 )
설명
레포트 > 기타
고든 부모 훈련 이론 행동
나는 Gordon의 효율적인 부모훈련 theory 과 행동수정theory 을 비교分析(분석)하겠다. 부모의 문제로 다가왔을 때 는 부모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기술이 요청된다된다. 이 theory 에서는 부모의 인내와 수용성을 강조했다면 행동주의 theory 에서는 부모가 자녀의 행동을 watch하는 watch자이며 행동의 goal(목표) 를 설정하여 조정하는 조정자의 역할이다. 그렇기에 부모와 자녀의 관계는 애정과 존경을 갖고 따뜻하고 평온한 관계이어야 하며 원만한 의사소통 수준에 따라 이 관계가 유지된다된다. 그러므로 사회적으로 적합한 행동을 할 때에는 긍정적으로 강화해주고 부적합한 행동을 할 때에는 벌을 주거나 혐오 자극을 주는 등의 행동요법을 통하여 어린이는 자신의 행동을 형성해 나가게 된다는 것이다. Gordon의 효율적인 부모훈련 theory 과 행동수정theory 은 아동의 행동수정이라는 입장에서 어느 정도의 공통점을 지닌다. 또한 부모가 문제가 있을 때는 고려하지 않고
v
Gordon의 효율적인 부모훈련 theory 에서는 자녀와 부모의 관계의 좋고 나쁨은 부모가 아동의 행동을 얼마나 수용하는가에 따라 다르게 평가된다고 생각하였다. 이와 같이 부모의 역할이 자녀의 문제를 수용하는 입장이 강조되고 또한 부모도 부족한 부분들이 있으므로 그것 때문에 자녀의 문제를 수용하지 못한다.
다. 즉 부모의 역할은 자녀에게 모델적인 행동을 제시하며 그 행동을 정확히 측정(measurement)하여 goal(목표) 를 설정하고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자극을 제공하는 주체이다. 부모의 좋은 모델을 모방하면서 자녀들의 행동은 형성된다는 것이다. 자녀와 부모가 서로 발전해 나가는 theory 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것이다. . 부모는 훈련해야하고 인내해야 하며 수용적이여야 하고 자녀의 문제해결에 믿음으로 그들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기다려야 한다. 그럼으로 많은 부분의 훈련과 인내가 필요한 것이다. Gordon의 효율적인 부모훈련 theory 에서 요구되는 부모의 역할과는 다르다. 부모는 자녀들이 문제를 소유하고 있을 때 그들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놀라운 잠재 능력을 지니고 있음을 믿고 스스로 해결책을 찾는데 책임감을 느끼도록 놓아두는 것이다. 자녀의 성장은 부모가 원하는 대로 성취시킬 수 있으므로 행동주의 심리학에서 부모역할이란 좋은 모델이 되는 것이다. 그럼으로 부모는 그들의 욕구를 방해하는 자녀들의 행동을 수정하기 위하여 좀 더 efficacy적인 방법을 배워야 할 필요가 있으며 자녀들의 욕구 충족을 위한 행동들을 수용할 수 있는 안목과 인내가 필요하다. 자녀가 행하고 말하는 모든 것들은 각기 하나의 독특한 행위라는 것을 부모가 생각하고 수용해 줄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부모의 역할 면, 즉 아동에 행동수정에 관한 방법적인 면에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어린이가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한다면 그것은 학습되어진 것 또는 훈련부족 때문인 것이다.
고든 부모 훈련 이론(理論) 행동 / ()
이와는 다른 입장인 행동수정theory 은 자녀는 전적으로 양육에 의해 형태지어지며 아주 세세한 훈련의 수동적 수령자임을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