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 법외노조화 논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02 19:23
본문
Download : 전교조 법외노조화 논란.pptx
전교조 법외노조화 논란
설명
전교조,법외노조화,논란,인문사회,레포트
전교조 법외노조화 논란 , 전교조 법외노조화 논란인문사회레포트 , 전교조 법외노조화 논란
Download : 전교조 법외노조화 논란.pptx( 18 )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전교조 법외노조화 논란
_SLIDE_1_
전교조 법외노조화 논란
_SLIDE_2_
INDEX
01 사건 紹介(소개)
02 보도 analysis
03 토론 주제
_SLIDE_3_
전교조 법외노조 논란
01
사건 紹介(소개)
_SLIDE_4_
01 사건 紹介(소개)
전교조
교직원들을 구성원으로 하는 진보적 성향의 교직원 노동조합
1989년 세워진 이후 政府(정부)의 승인을 얻지 못해 비합법 단체
로 활동하다 1999년 합법화
설립 목적 : 교직원이 교육의 주체로서 민족민주인간화 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참교육 운동
전국교직원노동조합
_SLIDE_5_
01 사건 紹介(소개)
법외노조
노조법이 요구하는 조건을 갖추지 못해 법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노조를 말한다.
2. 관련 법률자체가 위헌소지가 있다아
한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한 1998년을 안팎으로 국제사회에서 추궁 당한 대표적 악법 조항
-대법원(2004), 일시적으로 실업 상태인 자까지 근로자 범위에 포함
-xxxx년, 국가인권위원회도 같은 논리로 해당 시행령을 삭제하라고 권고 …(drop)
다. 법외노조가 되면 노동조합이라는 명칭을 公式 적으로
쓰지 못하며, 단체협약 교섭권, 노조전임자 파견권 등 노조로서의 법적 권리를 행사할 수 없게 된다
_SLIDE_6_
01 사건 紹介(소개)
사건개요
2xxx년 3월 해직자를 조합원으로 인정하는 규약을 개정하라고 전교조에 시정명령
2xxx년 6월 전교조에서 이에 대한 취소 소송을 제기했으나 대법원이 시정명령이 정당한 것으로 판결
2012년 9월 두 번째 규약 시정명령을 내렸으나 전교조 측에서 받아들이지 않았음
2013년 9월 23일, 10월 23일까지 노동부에서 이를 시정할 것을 요구
2013년 10월 24일, 政府(정부)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에 법외노조라고 公式 통보
_SLIDE_7_
01 사건 紹介(소개)
찬반근거
찬
반
1. 해직교사들은 교육발전을 위해 투쟁한 사람이다.